분류 전체보기

    WebLogic Cluster 관련 정리 글

    우선 WebLogic에서 session을 복제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존재한다. 1. In-memory replication - In-memory를 사용하게 되면 WebLogic은 session stated를 한 서버에서 다른 서버로 복사하게 된다. Primary 서버는 첫번째 연결이 되는 client의 primary session state를 생성시키고 이를 secondary 서버에 복사하게 된다. 이 복제는 kept-up-to-date(거의 실시간) 으로 진행되며, primary 서버가 죽을 때 secondary 서버가 복제된 session을 사용하게 된다. - persistent-store-type은 replicated 또는 replicated_if_clustered를 사용하게 된다. 2...

    User 계정으로 권한 있는 파일 찾아내서 지우기

    가끔 Linux를 사용하다 보면, 해당 계정으로 생성/변환 하는 권한을 가진 파일들에 한해서 모두 다 삭제를 하고 싶은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그때는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해서 한번에 다 삭제시킬 수 있다. find ./ -user ${USER} -exec rm -R {} \; => rm -R 옵션은 파일/디렉토리 모두 다 삭제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JTA Timeout 관련 Error

    JTA timeout은 30 ~ 3600 까지 설정이 가능하고, Oracle은 임의의 값이긴 하지만, 만약 병목현상이 일어나서 timeout 값을 증가시켜야 할 경우 300을 우선적인 권장값으로 두고 있다. => 다만 초기 설정값에서 점점 값을 낮춰가면서 위의 해당 문구가 많이 나타나지 않는 지점까지 지속적으로 적정값을 찾아야 한다. => JTA timeout 값이 너무 클 경우, 걸려 있는 thread 숫자가 많을 때 시스템이 때때로 중단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 최종 목표는 JTA timeout 값을 조정하여 JTA timeout exception을 하루 기준, 아예 없거나 아주 적게 확인되는 수치로 조정하는 것이다. 다만 JTA timeout을 설정할 때 DISTRIBUTED_LOCK..

    Iplanet obj.conf

    Web Server는 처음 시작될 때 일부 초기화 작업을 수행한 다음 클라이언트(예: 브라우저)의 HTTP 요청을 기다립니다. 서버는 요청을 받으면 먼저 가상 서버를 선택합니다. 선택한 가상 서버 의 obj.conf 파일은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는 방법을 결정한다. obj.conf 파일에는 요청 처리 프로세스의 각 단계에서 수행할 작업을 서버에 알려주는 지시문이라고 하는 일련의 지침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이러한 지시문은 Object 태그 내에서 그룹화됩니다. 각 지시문은 하나 이상의 인수가 있는 함수를 호출한다. 각 지시문은 요청 처리 프로세스의 특정 단계에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요청 처리 프로세스의 권한 부여 단계에서 적용되는 지시문은 AuthTrans 지시문이다. 요청 처리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

    IPlanet instance obj.conf 파일 생성 안됨 현상

    Iplanet은 기본적으로 obj.conf 파일을 생성하지만, 각각의 instance들에 대한 별개의 obj.conf 파일로 많이 작업을 하기 때문에, 이를 생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단, Iplanet console에서 JAVA를 사용하게 되면, 예시로 든 WebLogic의 JAVA 사용과 충돌이 나기 때문에 ${HOSTNAME}-obj.conf 파일이 생성되지 않는다. 이 때 다음과 같이 해당 hostname에 대하여 JAVA 사용을 해제하게 되면 성공적으로 obj.conf 파일들이 생성된다. 각각의 obj.conf들은 server.xml에서 다음과 같이 해당 conf 파일들을 읽게 설정해줘야 한다. ========= Oracle 글 참고

    Missing SerializedSystemIni.dat

    WebLogic 기동 중 Missing SerializedSystemIni.dat 이라는 에러 문구와 함께 기동이 안되는 이슈가 발생했다. SerializedSystemIni.dat은 WebLogic 도메인에 필요한 암호화 및 암호 해독에 쓰일 hash 값을 저장해놓은 파일이다. WebLogic은 중요 파일을 암호화 할 때 AES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이에 각 도메인은 고유의 Encryption, Salt, Cypher 키를 보유하여 SerializedSystemIni.dat에 해당 키를 보관하게 된다. (참고 : https://blueyikim.tistory.com/174) Missing SerializedSystemIni.dat 에러가 나타났을 때는 다음과 같이 조치를 취할 수 있다. 1. 백업 도메..

    TCP CLOSE_WAIT

    트래픽이 많은 웹 서비스를 운영하면, CPU 자체는 여유가 있지만 Web Server 및 WAS가 응답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처리 시간이 지연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중 CLOSE_WAIT가 과다하게 걸려서 생기는 현상에 의한 것에 대한 발생 원인 및 해결책에 대한 글이다. 일단 CLOSE_ WAIT을 알기 전에 TCP/IP 통신에 대한 공부가 필요하다. close되는 상태를 확인하자면 우선 Initiator에서 FIN_WAIT_1 에서 close()를 수행하고, Receiver는 ACK를 보낸 이후 어플리케이션에 close()를 수행한다. (완벽하게 이해는 하지 못했지만, 이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추가적으로 상세히 공부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다만 CLOSE_WAIT가 생기는 이유는..

    OHS, Iplanet PID 파일

    OHS와 Iplanet와 같은 Oracle의 web server 제품군은 httpd의 프로세스를 기동하였을때 생성되는 PID 에 대한 정보를 PID file로 따로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1. OHS 현재 OHS component가 기동중이며, PID는 4723이다. 단 하단에 보이는 process는 child process들이며, 모두 4723의 parent process를 물고 있다. 해당 PID에 대한 파일은 다음과 같은 경로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OHS_DOMAIN}/servers/${COMPONENT_NAME}/logs/httpd.pid ============================== 2. Iplanet 마찬가지로 ps -ef 를 통해 pid를 확인할 수 있고, 이 또한 PID f..